컬쳐&라이프

뜻도 모르고 썼던 ‘있어 보이는’ 단어들, 쉬운 우리말로 대변신

2025-11-04 14:12
 우리 사회에 만연한 외래어와 외국어 남용 현상에 제동이 걸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일상과 공공 언어 영역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 12개를 국민이 알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새롭게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어려운 외래어가 소통을 저해하고 정보 격차를 유발한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보다 쉽고 직관적인 우리말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제 ‘얼라이언스’, ‘액셀러레이팅’처럼 특정 분야에서 전문 용어처럼 쓰이던 단어들이 각각 ‘협력체’, ‘창업 성장 지원’ 등 명확한 의미를 지닌 우리말로 대체된다.

 

이번에 선정된 우리말 대체어는 일방적인 탁상공론의 결과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언론계, 학계, 대학생 등 각계각층의 구성원이 참여하는 ‘새말모임’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후보안이 마련되었다. 이후 전국 15세 이상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국민 수용도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국민이 얼마나 우리말 대체어의 필요성에 공감하는지를 면밀히 파악했다. 최종적으로는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이라는 전문가 검토 단계를 거쳐 공신력을 확보했다. 이처럼 다듬어진 말들은 단순한 제안을 넘어, 사회적 합의와 민주적 절차를 통해 탄생한 소통의 약속인 셈이다.

 


특히 이번 국민 수용도 조사에서 ‘얼라이언스’와 ‘액셀러레이팅·액셀러레이터’는 무려 75.5%에 달하는 응답자가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고 답해, 대체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매우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에 ‘얼라이언스’는 ‘협력체’라는 명료한 단어로, 초기 창업 기업을 지원하는 과정을 뜻하는 ‘액셀러레이팅’과 그 기관을 뜻하는 ‘액셀러레이터’는 각각 ‘창업 성장 지원’과 ‘창업 성장 지원 기관’이라는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졌다. 또한, 창업 및 직무 교육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던 ‘핸즈 온’은 ‘직접 체험’으로, ‘인큐베이팅’과 ‘인큐베이터’는 사업 단계에 따라 ‘창업 초기 지원’ 또는 ‘창업 기반 지원’,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구체화하여 복수 대체어를 제시했다.

 

정부는 이렇게 다듬어진 우리말이 단순히 사전에만 존재하는 죽은 언어가 아니라, 국민의 실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비롯한 다양한 소통 채널을 활용하여 새로운 우리말을 알리고 그 사용을 장려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이번 발표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 있거나 공공성이 높은 분야의 어려운 외래어를 신속하게 우리말로 다듬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누구나 소외되지 않는 쉽고 평등한 공공언어 사용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